탈수 [Dehydration]

반응형

  • 탈수란?

 

탈수는 수분을 섭취하는 양보다 더 많이 사용하거나, 더 많이 몸 밖으로 수분이 빠져나가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말해요. 우리 몸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수분이고, 이 수분이 부족하면 누구나 탈수를 경험할 수 있어요. 하지만 나이가 많은 사람, 어린아이는 탈수가 일어나면 쉽게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해요. 더운 날 외부에서 땀을 흘리며 일하는 사람도 탈수 위험이 커서 주의해야 해요. 

 

  • 탈수의 위험요인

 

적절하게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수분이 부족한 상태인 탈수가 생겨요. 구토나 설사처럼 수분이 의도하지 않게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탈수가 잘 일어나요. 열이 나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상황에서도 탈수가 생길 수 있어요. 이뇨제처럼 소변 배출을 도와주는 약을 사용하는 사람도 탈수를 주의해야 해요. 출혈로 혈액이 손실되거나 화상처럼 피부가 손상되어서 수분이 발산되는 경우에도 탈수가 생겨요. 

 

  • 탈수의 증상

 

우리 몸에서 수분이 부족해지면 갈증이 생겨요. 소변량이 줄어들고, 나오는 소변도 색이 진해져요. 이때 수분을 적절하게 보충해주지 않으면 근육이 쉽게 피곤해지고, 피부의 탄력도 떨어져요. 탈수가 진행될수록 기운이 없어지고, 심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실신하거나 사망에 이르기도 해요. 

어린아이는 갈증을 표현하기 어려워서 보호자가 주의 깊게 살펴야 해요. 탈수가 심한 아이는 입과 혀가 건조해지고, 울어도 눈물이 나오지 않아요. 기저귀를 착용하는 아기는 3시간이 지나도 기저귀가 젖지 않는다면 탈수를 의심해야 해요. 뺨이나 눈 주위, 대천문이 움푹 들어가 보이기도 해요. 

 

  • 탈수의 교정

 

탈수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입으로 수분이나 이온 음료를 충분히 섭취하면 증상이 좋아져요. 하지만 증상이 심할 때는 정맥주사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주어야 해요. 탈수의 원인이 되는 다른 요인이 있다면 함께 치료해야 해요. 아이들은 성인보다 탈수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설사나 구토가 있다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해요. 섭취량이 너무 적거나 소변을 보지 않을 때, 처지면서 활동이 줄어들 때는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아요.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갈증을 느낄 때만 물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따로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아요. 더운 날 외부에서 활동해야 한다면 주기적으로 휴식과 함께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