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당불내증 [Lactose intolerance]

반응형

  • 유당불내증(유당분해효소결핍증)이란?

우유를 마시고 나면 항상 배가 불편하거나 하지는 않나요? 배에 가스가 차거나 설사를 하기도 해요. 우유를 마시고 나면 배가 불편한 이유 중의 하나는, 소장에 우유에 들어 있는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아제가 부족해져서 유당이 소화되지 않기 때문이에요. 소화되지 않은 유당은 대장에 사는 박테리아를 만나 발효되면서 설사나 복통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유당불내증이라고 해요. 

 

  • 락타아제 부족의 원인

 

유당을 분해하는 락타아제는 왜 부족해질까요? 대부분 사람은 유아기까지는 락타아제가 충분해요. 하지만 점점 성장하면서 다른 음식도 섭취하게 되면 락타아제는 줄어들어요.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이 락타아제가 다른 사람보다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유제품을 소화하기 어려워져요. 이 외에도 소장에 질병이나 상처가 생긴 사람, 소장을 절제한 사람에게도 락타아제가 부족해져요. 드물지만 선천성 질환 때문에 락타아제가 태어날 때부터 부족할 수도 있어요. 

 

  • 유당불내증의 증상

 

유당불내증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우유를 먹고 난 뒤에 설사하거나 묽은 변을 보는거예요. 배가 더부룩하고 빵빵한 느낌이 들어요. 가스가 차면서 냄새가 나쁜 방귀를 뀌기도 해요. 

유당불내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유를 마시고 난 뒤에 나타나는 증상을 우선 확인해야 해요. 유당을 섭취하고 난 다음에 혈액검사로 몸의 상태를 확인하고, 유당이 소화되지 않으면 만들어지는 가스를 확인하는 수소 호흡검사를 해요. 어린아이는 대변을 검사해서 확인하기도 해요. 증상이 비슷한 다른 질환과 감별하는 것도 중요해요. 

 

  • 유당불내증의 치료

 

몸에서 락타아제를 더 많이 만들 수 있는 치료 방법은 없어요. 또 유당불내증이 있다고 해서 우유를 전혀 마실 수 없는 것도 아니에요. 유당불내증이 심하지 않다면 우유를 조금씩 나누어서 자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차가운 우유보다는 따뜻하게 데운 우유가 유당불내증에는 더 좋아요. 

우유를 빵이나 시리얼 같은 다른 음식과 함께 먹으면, 우유가 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서 락타아제가 작용하기 쉬워져요. 치즈나 요구르트 같은 유제품은 우유보다 소화가 더 쉬워서 유당불내증을 앓는 사람에게도 추천해요. 유당을 미리 분해한 우유를 마시는 것도 방법이에요.

 

하지만 우유를 마시고 나서 설사를 하거나 배가 불편하다고 해서 모두 유당불내증은 아니에요. 장염이나 다른 장질환, 우유 알러지도 유당불내증과 증상이 비슷하지만, 치료는 완전히 달라져요. 의심스러운 증상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거나 우유를 피하기보다는,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