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성 정동장애(계절성 우울증)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easonal depression)]

반응형

  • 계절성 정동장애(계절성 우울증)란?

 

계절성 정동장애(계절성 우울증)는 우울감이 생겼다가 좋아지는 양상이 특정 계절과 관련되는 경우를 말해요. 주로 햇빛이 적어지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증상이 나타났다가 봄이 되면 좋아지는 것을 매년 반복해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조금 더 많아요. 드물게 봄부터 여름까지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어요. 

 

  • 계절성 정동장애의 증상

 

계절성 정동장애(계절성 우울증)의 증상도 흔히 우울증이라고 부르는 우울장애와 비슷해요. 무기력하고, 활동도 줄어들어요. 식욕이 늘면서 체중도 함께 늘어요. 잠을 전보다 많이 자는데도 쉽게 피곤해져요. 이전에는 재미있게 했던 일도 흥미가 없어져서 하기 싫어요. 우울하고 슬픈 생각이 들고, 자기 스스로가 가치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해요. 

 

  • 계절성 정동장애의 원인

 

계절성 정동장애는 가을에 접어들면서 햇빛의 양이 줄어들고, 평소 햇빛에 맞춰 움직이던 우리 몸의 생체시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어요. 햇빛이 적어지면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어드는데, 세로토닌 농도가 떨어지면 우울감을 느낄 수 있어요. 수면과 관련이 있는 멜라토닌 분비는 늘어나면서 잠이 많아지고 무기력해지기도 해요. 

 

  • 계절성 정동장애의 진단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계절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특정 계절이 아니어도 증상이 계속되지는 않는지 확인해요. 신체의 다른 부위에 문제가 있어서 비슷한 증상이 생기지는 않는지 혈액검사로 확인하기도 해요. 

 

  • 계절성 정동장애의 치료

 

계절성 정동장애에는 광선 치료를 시도하기도 해요. 하루에 일정 시간 햇빛과 비슷한 광선을 쬐면서 생체 리듬을 되돌려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서 우울감을 완화하는 약물치료를 하기도 해요. 정신치료를 통해 우울한 기분을 인지하고 대처하는 법을 익히는 것도 도움이 돼요. 

 

가을, 겨울에 접어들면서 단순히 가을을 탄다, 가을이 되면 우울하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어려움을 가볍게 넘겨버리지 마세요. 계절이 바뀌면서 우울감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된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으세요. 날씨가 추워진다고 신체활동을 줄이기보다는, 햇볕 좋은 날 밖에 나가서 여유롭게 산책하면서 햇볕을 쬐는 시간을 늘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