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동맥질환 [Peripheral artery disease]

반응형

  • 말초동맥질환이란?

 

말초동맥질환은 주로 다리의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생기는 질환이에요. 팔이나 다리처럼 심장과 다소 떨어져 있는 곳까지 산소가 들어 있는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을 말초동맥이라고 해요. 다리로 가는 말초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다리에 혈액 공급이 잘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요. 

 

  • 말초동맥질환의 원인

 

말초동맥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죽상경화증이에요. 혈액에 콜레스테롤이 과하게 많아지면서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 침착물인 플라크가 쌓이고, 동맥이 좁아지면서 흐르는 혈액의 양도 줄어들어요. 이상지질혈증이나 고혈압,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은 더 주의가 필요해요. 비만이나 흡연도 말초동맥질환의 위험 요인이 돼요. 드물게는 혈관염 같은 질환 때문에 동맥이 좁아지기도 해요. 

 

  • 말초동맥질환의 증상

 

다리로 흐르는 혈액이 부족해지면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증상은 다리에서 엉덩이로 이어지는 통증이에요. 일정한 거리를 걸으면 다리가 쥐가 난 것처럼 당기고 아파서 움직이기가 어려워져요. 이런 증상을 간헐성 파행이라고 불러요. 처음에는 쉬고 나면 증상이 좋아지지만, 동맥이 심하게 좁아지면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나타나요. 발이 시리거나 감각이 둔해지고, 색이 변하기도 해요. 혈액 순환이 나빠지면 발에 상처가 나도 잘 낫지 않고, 털이나 발톱도 잘 자라지 않아요. 심하면 상처가 낫지 않고 조직이 죽어버리는 괴사가 일어나기도 해요. 

 

  • 말초동맥질환의 진단 

 

말초동맥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기본적인 검사로는 상지와 하지의 혈압 차이를 비교하는 ABI(Ankle-Brachial Index, 발목-상완 지수 검사), 초음파 등이 있어요. ABI는 발목의 수축기혈압을 팔의 수축기혈압으로 나눈 수치를 말하는데, 팔과 다리에 각각 혈압계를 감고 혈압을 측정해서 계산하면 알 수 있어요. 혈관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혈관의 모양을 확인하는 혈관 조영술, CT나 MRI 등도 말초동맥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돼요.

 

 

  • 말초동맥질환의 치료

 

말초동맥질환으로 진단받았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흡연하고 있다면 바로 금연하고, 이상지질혈증이나 고혈압은 약으로 조절하면서 주기적으로 진료를 받아요.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고 혈류를 개선하는 약물치료도 도움이 돼요. 

다리로 가는 혈액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혈관 성형술이나 수술이 필요하기도 해요. 경피적 혈관 성형술은 가는 관(카테터)을 혈관으로 삽입해서 좁아진 부위를 교정하는 시술이에요. 혈관 안에서 풍선을 부풀려서 혈관을 넓히거나, 스텐트라는 그물망을 넣어서 혈관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받쳐줘요. 수술로 막힌 혈관 대신 우회로를 만들어주거나, 혈관에서 플라크를 직접 제거해 내기도 해요. 

 

  • 주의사항

 

다리가 당기고 아픈 말초동맥질환의 처음 증상은 추간판탈출증이나 관절염으로 오해하기 쉽고, 안타깝게도 병원을 찾는 시점이 늦어지는 이유가 되기도 해요. 걸을 때 다리가 당기고 아픈 증상이 계속된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좋아요. 말초동맥질환의 원인이 되는 죽상경화증은 심장과 뇌혈관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롤과 혈압, 혈당을 잘 관리하고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도움이 돼요. 흡연하고 있다면 꼭 금연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