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중격 만곡증 [Deviated nasal septum]

반응형

 

  • 비중격 만곡증이란?

 

코는 비중격이라는 벽을 기준으로 좌, 우로 나뉘어 있어요. 비중격은 콧등을 단단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해요. 비중격은 점막으로 덮여있어서, 점액을 분비하면서 콧속으로 들어온 공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일도 해요. 그런데 외부의 충격을 받았거나, 성장 과정에서 비중격이 눌리거나 불균형하게 자라면서 비중격이 휘어지기도 해요. 비중격이 휘어지면 한쪽 비강(콧구멍 안쪽)도 좁아지게 돼요. 이렇게 비중격이 휘어져서 문제가 생기는 상태를 비중격 만곡증이라고 불러요.

 

  • 비중격 만곡증의 증상

 

비중격이 휘어지면 코 한쪽은 좁아지고 한쪽은 넓어져서 공기 순환이 잘되지 않아요. 좁아진 쪽 코에서만 답답함을 느낄 것 같지만, 반대쪽 코의 점막이 두꺼워지면서 양쪽 코 모두 코막힘을 호소하기도 해요. 코막힘 때문에 머리가 무겁고 두통이 생겨요. 코가 막히면 코에서 만드는 점액이 잘 배출되지 않아서 코 뒤로 넘어가는 증상(후비루)도 생겨요. 코가 막히니 자연스럽게 입을 벌리고 숨을 쉬게 돼요. 콧속으로 들어온 공기 온도와 습도가 잘 조절되지 않아서 코피가 나기도 해요. 코가 심하게 막히면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도 생겨요. 

 

  • 비중격 만곡증의 진단과 치료

 

비중격 만곡증은 비강 내시경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의사가 내시경으로 콧속을 들여다보면 휘어진 부분이 있는지, 안쪽이 부어서 콧속이 막혀있는지 않았는지 알 수 있어요. 필요하다면 CT 같은 영상 검사로 얼굴과 코의 내부 구조를 확인하기도 해요. 

비중격 만곡증으로 코막힘이나 비염이 심하다면, 증상을 완화하는 약을 먹거나, 콧속에 뿌리는 비염약을 사용하기도 해요. 약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비염이 반복된다면 수술이 필요해요. 수술로 휘어진 비중격을 반듯하게 고정해요. 

 

콧구멍 하나가 막히면 남은 하나로 숨을 쉬면 된다는 속담이 있지만, 사실 우리 코는 한쪽이 막히면 다른 한쪽의 기능도 같이 떨어지기 쉬워요. 코막힘 때문에 불편감이 심하다면 이비인후과를 찾아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