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 [Scabies]

반응형

  • 옴(진드기)이란?

 

밤이 되면 피부가 가려워서 잠을 잘 수 없다면, ‘옴’ 감염을 의심해보세요. ‘옴’을 들어본 적 있나요? 옴은 작은 진드기로 사람의 피부나 털에 기생해요. 사람과 사람 간에 옮길 수 있고, 전염성이 강해 침구나 동물을 통해서도 옮겨 다녀요. 어린이집이나 학교, 요양원과 같이 단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종종 나타나는데, 한 사람이 걸리면 함께 생활하는 사람 모두 전염될 수 있어요. 

 

  • 옴의 증상

 

옴진드기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암컷이 사람 피부에 굴을 파서 피부 속으로 파고들어서 옮겨 다니며 알을 낳아요. 이때 만들어 내는 분비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서 밤에 극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해요. 가려움증은 옴에 전염되고 4~6주 후에 나타나는데, 많은 수의 옴진드기에 감염되거나 이전에도 감염된 적이 있는 경우는 가려움증이 더 빨리 나타나요.

파고 들어간 굴의 입구에는 하얀 비듬이 보이고, 굴 아래쪽에는 작은 수포나 고름이 만들어져요. 특히, 손가락, 발가락 사이나 손목 안쪽 부위, 겨드랑이, 사타구니와 같이 부드러운 피부 부위에 잘 생기고, 벌레에 물린 것 같은 작은 붉은 발진이 보여요.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손바닥, 발바닥, 두피에 잘 생겨요. 가렵다고 심하게 긁으면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요. 

 

  • 옴의 진단과 치료

 

병원에서는 의사가 피부를 확인하고, 의심되는 부위의 피부를 긁어내서 현미경으로 검사해요. 표본에서 옴진드기나 알이 관찰되면 확진할 수 있어요. 

치료를 위해 자기 전에 의사가 처방한 크림이나 로션을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발라요. 다음 날 아침, 약을 닦아 내거나 씻어내요. 약물에 따라 시간을 두고 두 번 사용하기도 해요. 치료가 잘 되었어도 가려움증은 몇 주간은 계속되기도 해요. 가려움이 심할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요. 긁은 상처에 2차 감염이 생겼다면, 항생제를 사용해 치료해요.

 

  • 옴의 예방

 

옴은 쉽게 번지기 때문에, 증상이 없더라도 밀접하게 생활한 가족들도 반드시 함께 치료해야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요. 입었던 모든 옷과 침구, 수건은 뜨거운 물로 삶아서 빨고, 뜨거운 건조기로 건조하거나 다림질하세요. 세탁할 수 없는 물건은 비닐봉지에 밀봉해서 1주일 이상 넣어두면, 옴진드기가 굶어 죽어요. 평소에도 개인위생을 잘 유지하고, 의류나 침구류를 삶아 세탁하면 옴 재발을 예방할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