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사고예방 - 5월

반응형

장남감 안전 사고

사고유형
  • 장난감의 작은 부품이나 장난감에 부착된 리본이나 끈 등으로 인한 질식사고
  • 장난감 총알(BB탄) 등에 의해 눈이 맞아 출혈을 일으키거나 귀나 코에 들어가는 사고
  • 장난감의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한 상해사고
  • 전기 장난감이나 화약, 불꽃놀이와 같은 것에 의한 화상 또는 폭발 사고
  • 장난감 미끄럼틀과 같이 높이가 있는 장난감에서의 추락사고
  • 물놀이 장난감을 사용하는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익수사고
  • 납이 포함된 페인트가 칠해진 장난감과 관련한 납 중독사고
예방수칙
  • 3세 이하의 어린이는 모든 것을 입에 넣는 습관이 있으므로 작은 부품으로 되어 질식 위험이 있는 큰 어린이용 장난감을 구입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어린 아이에게 질식위험을 줄 수 있으므로 1.75인치(약 4.5cm)보다 작은 구슬, 공, 구슬이 있는 장난감은 피해야 합니다.
  • 날카롭거나 뾰족한 장난감은 피해야 합니다.
  • 8세 미만의 어린이는 터진 풍선이나 불지 않는 풍선에 의해 질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고무풍선을 사용해야 한다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어린이가 풍선을 불지 못하도록 하며, 풍선을 사용한 후에는 공기를 빼고 즉시 버리도록 합니다.
  • 장난감을 선택할 때에는 어린이의 나이, 관심, 기술수준을 고려한다. 작은 부품 등이 견고하게 부착된 튼튼한 제품을 구입하도록 하고 용도에 맞게 사용하며 표시에 지시하는 바를 따르도록 합니다.
  • 장난감을 안전한 환경에서 사용하게 합니다. 타고 노는 장난감은 계단, 교통지역, 수영장 근처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 어린이가 놀 때에는 항상 지켜보아야 합니다. 놀이에 함께 참여하여 상호작용을 하면서 감독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좋습니다.
  • 아이가 놀고 난 후에는 장난감을 안전하게 치우도록 교육합니다. 어린아이용 장난감은 좀 큰 아이들의 것과 분리하여 보관합니다.
  • 3세 이하 어린이에 질식위험을 줄 수 있는 작은 부품이 든 장난감은 구매를 고려합니다.
  • 규칙적으로 장난감이 파손된 것은 없는지 검사하고 즉시 수선하거나 폐기하도록 합니다.

놀이시설 안전 사고

사고유형
  • 놀이공원이나 야외 유원지의 놀이기구가 고장을 일으켜 발생하는 사고 외에도 사람이 붐비는 곳에서 조금만 부주의해도 어린이가 보호자와 떨어져 길을 잃고 헤매거나 기물 등에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됩니다.
예방수칙
  • 5세 이하의 어린이를 감독하기 위해서는 최소 1명의 어른이 두 명의 어린이를 데리고 다닐 수 있어야 합니다.
  • 어린이가 무서워하는 놀이기구는 태우지 말아야 합니다.
  • 어린이가 놀이기구를 타다가 무서워할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 주어야 합니다. 즉, 운행 중에는 놀이기구에서 내리려 하지 말고 끝날 때까지 가만히 앉아서 손과 발을 안전하게 기구 안에 두어야 함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 덩치가 작거나 나이가 어린 어린이는 놀이기구에 절대로 타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 먼저 내리려고 서두르거나 다음 기구를 타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중에도 나가려고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린이에게 놀이기구를 탈 때에는 기구가 완전히 멈추기 전에는 일어서지 못하게 합니다.
  • 어린이가 얼마나 안전요원의 지시를 잘 지키고 가만히 앉아있을 수 있는지 잘 판단하여 놀이기구를 선택하여 태우도록 합니다.
  • 어린이가 놀 때에는 항상 지켜보아야 합니다. 놀이에 함께 참여하여 상호작용을 하면서 감독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좋습니다.
  • 어린이가 길을 잃어버릴 때를 대비하여 만날 장소를 어린이와 미리 약속해 두는 것도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