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사고예방 - 3월

반응형

어린이 교통 사고

사고유형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야외 나들이의 증가로 차량이용 급증
  • 어린이의 자동차용 안전장구에 대한 인식부족 및 착용률 저하
  • 제도 및 인식부족으로 통학버스 교통사고의 빈발.
예방수칙
  • 차량탑승시
    • 엄마가 아기를 안고 타지 않습니다. 어린이 차량 안전장구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 어린이용 차량 안전장구나 안전벨트를 연령에 맞게 선택하고 설명서를 숙지하여 올바르게 사용합니다.
    • 12세 이하의 어린이는 뒷좌석에 앉히도록 합니다.
    • 뒤쪽을 향하거나 전환가능한 안전시트는 에어백이 장착된 앞좌석에 앉혀서는 안됩니다.
    • 일단 사고가 났던 어린이용 차량 안전장구는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보행중
    • 10세 미만의 어린이가 횡단보도를 혼자 횡단하지 않게 합니다. 어린이가 교통 안전기술과 판단력을 익힐 때까지는 성인의 감시가 필수적입니다.
    • 어린이가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에는 먼저 좌우를 살피도록 하고 횡단하는 중에는 다시 왼쪽을 살피며 완전히 다 건널 때까지 계속해서 눈을 떼지 않고 살피도록 합니다. 횡단보도에서 절대로 뛰어 건너지 않게 합니다.
    • 도로를 건널 때에는 통학버스의 3m앞에서 도로를 횡단하도록 하고 어른을 기다릴 때에는 통학 버스 승하차지점과 같은 인도에서 기다리도록 합니다.
    • 횡단보도는 우측통행이 안전하지만 일반 도로는 좌측통행이 안전합니다.
    • 차도, 도로, 주차장, 도로에 인접한 담이 없는 뜰에서 노는 것을 금지합니다.
    • 좁은 이면 도로에서 차가 오면 우선 멈춘 다음 길 안쪽으로 몸을 붙여서 차가 지나갈 때까지 서 있도록 합니다.
    • 차를 등지고 통행하는 것이 차를 보면서 통행하는 것보다 사고 위험이 4배나 높으므로 차를 등 지고 걷지 않습니다.
    • 천천히 걷는 경우보다 뛰면 사고 위험이 7배, 차량 사이 또는 차량 앞, 차량 뒤로 뛸 경우 사고 위험이 18배나 높습니다.
    • 눈, 비 올 때에는 길이 미끄러워 넘어질 수 있으므로 차로부터 멀리 떨어져 걷습니다.
  • 통학버스 이용시
    • 어린이가 통학버스 정류장에 일찍 도착하게 하고 도로에 접근하기 전에 버스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 기다리게 하고 차가 오는지 잘 살피도록 하며 운전자 사각지대를 피하도록 합니다.
    • 버스나 통학버스 안에서는 가만히 자리에 앉아 있도록 하고 머리와 손은 차 밖에 내놓지 못하도록 합니다.
    • 버스에서 내릴 때에는 버스가 완전히 정류장에 멈출 때까지 기다리도록 하고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를 사용하여 앞에서부터 내리도록 하고 버스 앞을 지날 때에는 최소 3미터는 앞에서 횡단하도록 합니다.
    • 옷자락이나 신발 끈이 끼이지 않도록 잘 여미고 가방이 문이나 손잡이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차도, 도로, 주차장, 도로에 인접한 담이 없는 뜰에서 노는 것을 금지합니다.
    • 통학버스 주변을 뛰어다니거나 버스 안의 친구와 장난치지 않게 합니다.
    • 통학버스를 타고 내릴 때에는 통학 버스가 완전히 정차한 후, 교사가 타고 내려도 좋다는 신호를 보내면 승차합니다.
    • 계단을 오르내리는 유아에게 재촉하거나 말을 걸지 않습니다.
    • 통학버스에서 내리면 빨리 안전한 보도 위로 올라서도록 합니다.
    • 통학 버스 가까이에 물건을 떨어뜨린 경우, 절대로 유아가 줍지 못하게 하고 반드시 운전자에게 말을 한 후 보호자가 줍도록 합니다.

학교주변 안전 사고

사고유형
  • 입학 철 학교주변 도로(스쿨존)에서의 교통사고
    • 학교 앞 도로에 횡단보도나 가드레일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 학교주변 이면도로에도 일방통행 지정이나 과속방지턱, 속도규제 표지판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거나 학교주변 알림 표지판이 주로 학교정문 앞이나 담 주변에 붙여놓아 운전자들에게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역시 위험합니다.
  • 학교 안팎의 시설물 안전사고
    • 교내에 가스정압시설이나 액화석유가스저장시설 등 위험시설이 설치되어 있거나 학교급식을 위한 식당용 LPG가스통이 불안전하게 방치되어 있는 경우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 돌, 유리조각, 쇠파이프 등이 널려 있거나 바닥에 나무나 돌이 튀어나와 있는 경우, 공사용 자재가 널려있는 경우, 심한 요철이나 웅덩이가 파진 곳이 있는 경우 등 운동장 관리상태가 불량하여 어린이가 이용하기에 위험합니다.
    • 놀이기구가 심하게 부식, 파손되어 날카로운 면, 못이 돌출되어 있거나 각 놀이기구간의 충분한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못하고 놀이기구 바닥에 모래가 깔려 있지 않거나 모래가 깔려 있는 경우도 모래 깊이가 너무 얕아 어린이 추락 시 전혀 완충작용을 할 수 없는 등 놀이기구 관리상태가 불량하여 위험합니다.
    • 놀이기구에 납이 함유되어 있는 일반페인트를 사용하여 어린이 납중독의 우려가 있습니다.
    • 교실 및 복도창문의 높이가 초등학생의 평균키(8세:130.6cm, 12세:152.9cm)에 비해 지나치게 낮아 학생들이 장난치다가 추락할 위험이 있으나, 이에 대비하여 창문에 추락방지시설을 갖추지 않은 곳이 많아 교실 및 복도창문에서 어린이 추락 위험이 있습니다.
예방수칙
  • 교실
    • 교실에 위험한 부분이 있으면 선생님께 알리고 조치를 취합니다.
    • 교실에서 뛰거나 소리를 지르지 않고 술래잡기나 공놀이를 하지 않습니다.
    • 책상이나 걸상 위로 걸어 다니지 않습니다.
    • 칼, 자, 연필, 가위 등 학용품을 가지고 장난치지 않습니다.
    • 창 밖으로 물건을 던지지 않습니다.
    • 창가에서 장난치지 말고 창턱에 걸터앉지 않으며 창문으로 고개를 내밀고 장난치지 않습니다.
  • 계단, 복도
    •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뛰거나 장난치지 않고 한 계단씩 앞을 똑바로 보고 오르내려야 합니다.
    • 계단 안전봉에서 미끄럼을 타지 않습니다.
    • 복도에서는 절대로 뛰거나 장난치지 않고 복도에서는 안쪽으로 걷습니다.
    • 복도를 통행할 때에는 교실에서 나오는 사람을 살피며 걷습니다.
    • 복도에서는 여럿이 늘어서서 걷지 않습니다.
    • 복도에서는 미끄럼을 타거나 신발을 끌고 다니지 않습니다.
  • 운동장, 체육시간
    • 축구나 야구와 같은 공운동은 다른 친구들이 놀고 있는 곳에서는 하지 않습니다.
    • 운동장에서는 위험한 놀이를 하지 않습니다.
    • 운동 기구를 운반할 때에는 여러 명이 안전하게 운반해야 합니다.
    • 운동기구가 파손되어 위험한 부분이 생기면 바로 선생님께 알립니다.
    • 운동기구로 장난치지 않습니다.
    • 운동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합니다.
    • 체육시간에 몸이 불편하면 미리 선생님께 이야기 합니다.
    • 운동장의 놀이기구는 올바른 이용법으로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합니다.
  • 등하교 시
    • 우산, 신발주머니 등 손에 든 물건을 휘두르거나 던지지 않습니다.
    • 공사장 근처는 피해 다니고 안전한 길로 다닙니다.
    • 정해진 길로 다닙니다.
    • 길에서 장난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며 걷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