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산결핍빈혈 [Folate deficiency anemia]

반응형

  • 엽산결핍빈혈이란?

엽산결핍빈혈은 우리 몸에서 엽산이 부족해지면서 생기는 빈혈로, 혈액검사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적혈구가 관찰되는 거대적혈모구빈혈의 한 종류입니다. 

 

  • 엽산결핍빈혈의 정의 

엽산결핍빈혈은 우리 몸에서 엽산이 부족해지면서 생기는 빈혈입니다.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가 성숙하는 데는 엽산이 필요한데, 엽산이 부족하면 적혈구가 되기 전 단계인 적혈모구가 비정상적으로 커집니다. 혈액검사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적혈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대적혈모구빈혈(megaloblastic anemia)이라고 하며, 엽산결핍빈혈은 거대적혈모구빈혈의 한 종류입니다. 

 

  • 엽산결핍빈혈의 증상 

엽산결핍빈혈도 다른 빈혈과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쉽게 피곤해지고 어지러움을 느끼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쉽게 숨이 찹니다. 얼굴이 창백해지고 손, 발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저리며 혀에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 엽산결핍빈혈의 원인 

엽산은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 해조류에 많이 들어있는데, 이러한 음식의 섭취가 부족하면 엽산결핍빈혈이 발생합니다. 또한 엽산은 소장에서 흡수되는데, 소장 일부를 절제했거나 염증성 장질환 등으로 흡수가 잘되지 않으면 엽산이 부족해집니다. 알코올은 엽산의 흡수를 방해하며, 메토트렉세이트나 일부 항경련제와 같은 약물 복용도 엽산 결핍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신부나 수유부도 엽산의 요구량이 많아져서 쉽게 엽산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엽산 부족은 태아의 뇌와 척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엽산결핍빈혈의 진단 

혈액검사로 적혈구의 수와 모양, 엽산 수치를 확인합니다. 엽산결핍빈혈과 비타민B12결핍빈혈은 증상이 비슷해서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에 복용하고 있는 약 중에 엽산 결핍을 초래하는 약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위장관질환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 엽산결핍빈혈의 치료 

엽산결핍빈혈은 보통 먹는 엽산 보충제로 쉽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엽산은 녹색 채소와 달걀, 그리고 딸기, 참외, 오렌지, 키위 등에 풍부하기 때문에 엽산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 예방합니다. 엽산은 열을 가해서 조리하는 과정에서 손실되기 때문에, 엽산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조리하지 않은 신선한 채소, 과일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과한 음주는 엽산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술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엽산의 소화, 흡수를 방해할 수 있는 기저질환이 있다면 적절히 치료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