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의 날 (情報通信의 날)

반응형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정보통신사업의 발전을 다짐하며 관계 종사자들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

 


1884년 12월 4일 우정총국 개설축하연을 배푼 날을 기념해 정부는 1956년 6월 4일, 매년 12월 4일을 ‘체신의 날’로 제정했다.

1967년 11월 27일에는 매년 5월 31일이 ‘집배원의 날’로 제정되었다. 이는 1964년 5월 충청남도 금산군내 기자단의 주선으로 관민이 집배원의 노고를 격려했던 것이 전국 각지방에 호응을 받아 체신부에 의해 연중행사로 제정된 것이다.

이후 1972년 7월 7일, 정부는 매년 4월 22일로 ‘체신의 날’을 개정했는데, 이는 고종황제가 우정총국 개설을 명령한 날인 1884년 4월 22일을 기념한 것이었다.

이어 1973년 1월 24일에는 ‘체신의 날’이 4월 22일로 변경되었는데, 5월 31일 ‘집배원의 날’과 행사가 연속되고 정부의 각종 행사 통합·폐지 및 간소화 방침에 따라 ‘집배원의 날’이 폐지되고 ‘체신의 날’에 흡수통합 되었다.

1995년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체신부의 명칭이 정보통신부로 변경됨에 따라 기념일도 ‘정보통신의 날’로 변경되었으며, 기념식 일자는 매년 4월 22일이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기념식을 진행하고 있다.

조선 후기인 1884년(고종 21) 4월 22일, 국내 최초의 통신업무 주무기관인 우정총국(郵政總局)이 설립된 날을 기념하는 한편,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다짐하며 관계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할 목적으로 제정한 기념일이다.

1956년 체신의 날로 지정해 행사를 계속해 오다가 1994년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정보통신의 날로 바꾸어 해마다 4월 22일 행사를 개최하였다.

반응형

한국에서 정보통신의 역사가 처음 시작된 것을 기념하고, 정보통신인들의 자세를 더욱 새롭게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우편·체신금융·전기통신·전파방송 등 정보통신의 모든 분야에 걸쳐 그동안 이룩한 성과와 앞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일들에 대한 각오를 다지는 데 목적이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정보통신 분야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들에게 훈장·포장 및 대통령·국무총리 표창 등이 주어지고, 정보통신 관련 종합학술대회가 열린다. 일선 우체국의 특급우편·전자우편 집배업무, 우체국 창구업무 등은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정상 집행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