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7일 사건사고 , 실존인물

반응형

사건 사고

1492년 - 산타페 협약, 스페인과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시아로의 항해를 계약하다. 항해의 목적은 향신료.
1880년 - 조선에 주조선 일본공사관 설치
1895년 -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일본 제국과 패전 화평조약인 시모노세키 조약(마관조약) 체결.
1911년 - 조선총독부, 토지수용령 공포
1915년 - 경신학교 대학부 개설
1917년
러시아의 볼셰비키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 밀봉열차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전날 귀환하여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찬전 임시정부 타도" 등의 내용을 담은 '4월 테제' 발표.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 전문학교 창립.
1919년 - 상하이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제 선포
1924년 - 서울에서 전 조선노동총동맹 결성 발족.
1925년 - 조선공산당 창당.
1952년 - 대한민국 국회 국회의원 123명, 내각책임제의 제3차 개헌안 제출(5.7. 공고).
1954년 - 나세르, 이집트 수상으로 취임.
1956년 - 코민포름 해산.
1957년 - 강문봉 중장에 사형 선고
1961년 - 미터제(자동요금계산기) 택시 등장. 단 300대의 택시가 서울시가를 달리기 시작함. 기본요금은 300환을 받고 500m를 넘을 때마다 50환씩 불어 표시됨.
1962년 - 미군, 쿠바 피그만 침공 상륙 개시 … 작전 개시 사흘만에 대패.
1965년 - 한일협정 반대 시위, 효창공원에서 시민궐기대회가 일어남.
1968년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 하와이 호놀룰루 방문. 린든 B. 존슨 미국 대통령과 회담
일본에서 조총련계 "조선 대학"이 정식 인가받음.
1969년 -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화 기수 알렉산데르 둡체크 실각, 후임에 후사크가 오름.
1970년 - 아폴로 13호가 무사 귀환함.
1974년 - 한국에서 주간 <내외통신> 창간(북한ㆍ공산권 전문 통신, 1998년 연합통신에 통합)
1975년 - 크메르 루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점령. 
1976년
충청남도 부여군 조촌면 송국리에서 백제 도자기 가마(도요지) 발견
에버랜드가 자연농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장.
1981년
폴란드 공산 정부, 농민노조 합법화 승인.
전라남도 진도군, 돌산 연육교 기공
롱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관, 북한은 10만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치안본부, 농협·수협·축협 조합장 선거 부정사건 수사
1982년
캐나다, 건국 115년만에 자주헌법 공포
서울대학교 법대 학생 대표 "노진수"씨 실종사건.
한국 정부, 중소기업의 고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10개년 계획 발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대통령, 북한 평양 방문.
1984년
KOC(한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북한 측에 남북한 체육회담을 열자고 거듭 제의하여 성사됨.
고려대학교에서 학생 1500여 명 시위, 강제징집 철폐 등 구호를 외침.
1985년
고려대학교에서 전국 23개 대학의 전국대학생총연합회(전대협, 한대련의 전신) 결성, 의장에 김민석 서울대 학생회장
한신 타이거스는 이 날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홈경기에서 랜디 바스 - 카케후 마사유키 - 오카다 아키노부 3타자 연속 홈런, 일명 백스크린 3연발을 기록했다.
1986년
335년 전쟁 종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전두환 대통령, EC(ECC와 유럽연합의 전신)위원장과 한·EC 교역확대 등 논의
1987년 - 통일민주당(가칭) 김영삼위원장, 현행 제5공화국 간선제 헌법하의 대통령선거에 통일민주당 불참 선언
1989년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미국 대통령, 폴란드 민주개혁 돕기 위한 조치 결정
대만(중화민국) 기자, 40년만에 중국(중화인민공화국) 방문 취재
건설부, 고속도로 11개노선 1290㎞를 92년까지 착공키로 계획 발표
연세대학교와 한양대학교 등에서 의료 노동자들이 임금투쟁
EBS, 고교 과외방송 실시. 과외 금지조치 해제에 따름.
미국의 방송국 CNBC가 개국했다.
1990년
대한민국 법무부, 가정파괴범 등 강력범 9명 최형호, 강창구, 육근성, 어성갑 등 교수형 집행.
민주자유당, 당내 영수 4자 회담에 따라 계파갈등 사과문 발표.
1991년 -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가이후 토시키 일본 수상과 회담 했다. 다음날 나가사키에서 러일전쟁의 수병 전몰자(전사자)에 참배하면서 뒤이은 한소 정상회담이 늦춰졌다.#
1993년 - 미국 대법원, 로드니 킹 구타사건 관련 피고인 경찰관 4명 중 2명에게 유죄판결
1996년
정보통신주권수호와 재벌독점방지 위한 개인휴대통신범국민대책위 결성
공정거래위원회 정재호 정책국장 구속
국내 최초 전자도서관 LG상남도서관 개관
1997년 - 대법원, 내란죄 사범 전두환, 노태우에게 최종 선고, 형 확정. 12.12 군사반란, 5.17 내란, 5.18 민주화운동과 비자금 사건 관련 선고공판에서 전두환 씨에게는 무기징역형과 추징금 2,205억 원, 노태우 씨에게는 징역 17년과 추징금 2,628억 원 선고. 그리고 그해 말 풀려난다
1999년 - 걸그룹 핑클의 팬클럽인 핑키가 창단되었다.
2000년 - 종합주가지수가 93.17(11.63%) 하락으로 하락폭-하락률 사상 최고기록을 경신하다.
2003년
대한민국 국군, 이라크 전쟁 파병 선발대 첫 출국
종합주가지수 93.17포인트(11.63%) 하락으로 하락폭-하락률 사상 최고기록 경신
16대 대선에서 경선자금 한도초과에 ‘양심고백’한 김근태 의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법정에 출두
국제언론인협회(IPI), 한국 언론자유 상황을 우려하는 보고서 제출
2004년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저항운동단체인 하마스 최고 지도자 압델 아지즈 란티시 암살, 이는 3월의 아흐메드 야신 암살에 이은 것이었다.
2005년 - 일밤의 인기 코너였던 브레인 서바이버, 대단한 도전이 2년여 만에 억지로 막을 내렸다.
2007년 - 대전 지하철 1호선의 2단계 구간인 정부청사역~반석역과 외삼차량사업소가 개통되었다.
2008년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을 포함한 10명의 임원에 대해 경영권 불법 승계 과정에 개입한 배임죄, 조세포탈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 비자금.
2013년 - 구스위키 설립
2015년 -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인해 이를 대체할 위키인 나무위키가 설립되었다. 참고로 구스위키와 설립일이 동일하다.
2016년 - 에콰도르 지진이 발생했다.
2019년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Jeopardy!에서 James Holzhauer가 단일 최다 상금 기록인 $131,127을 기록하면서 본인이 9일 전에 세운 최고 기록인 $110,914을 재경신했다.

반응형


실존 인물

1394년 - 공양왕음력(1345년~): 고려의 마지막 왕
1418년 - 조선 5대 국왕 문종의 정비 현덕왕후. (~1441년)
1578년 - 인헌왕후(~1626년):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어머니
1837년 - J. P. 모건(~1913년): 미국의 금융인
1849년 - 쇼켄 황후(~1914년): 일본 메이지 덴노의 정실
1885년 - 쑨촨팡(~1935년): 중화민국의 군벌
1888년 - 황진박(~1942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1894년 - 니키타 흐루쇼프(~1971년): 소련의 2대 서기장
1914년 - 원경선(~2013년): 한국의 유기농업 선구자이자 풀무원사 창업자
1919년 - 차벨라 바르가스(~2012년): 코스타리카 출신의 멕시코 원로 가수
1931년 - 타키구치 준페이(~2011년): 일본의 성우
1934년 - 최세창: 한국의 전 군인, 전 국방장관
1935년 - 하타 마사노리: 일본의 작가, 동물연구가, 작사
1947년 - 하나와 가즈이치: 일본의 만화가
1950년 - 김선동: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1951년 - 올리비아 허시: 영국의 배우
1954년 - 로디 파이퍼(~2015년): 캐나다의 프로레슬러
1964년 - 메이너드 제임스 키넌: 미국의 밴드 TOOL의 보컬.
1965년
쿠로다 타카야: 일본의 성우, 배우
표인봉: 한국의 개그맨
1971년
고형욱: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박용진: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
1974년
빅토리아 베컴: 영국의 전설적인 걸그룹 스파이스 걸스의 멤버, 사업가, 디자이너, 모델
최석필: 한국의 성우
1977년 - 송재룡: 한국의 기업인
1978년
박지윤: 한국의 성우
윤성희: 한국의 가수
1979년 - 성시경: 한국의 가수
1980년
김사율: 한국의 야구 선수
정동하: 한국의 가수, 부활 출신의 보컬리스트
이마무라 타카히로: 일본의 성우
1981년 - 김정환: 한국의 코미디언
1982년
이시영: 한국의 배우
이준기: 한국의 배우
1983년
매기 플렉노: 미국의 성우
조원희: 대한민국의 前 축구 선수
1985년 - 유민정: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1986년
이용래: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타케우치 에이지: 일본의 성우
1987년
메흐디 베나티아: 모로코의 축구 선수
사노 나미(~2023년): 일본의 만화가
1991년 - 정보경: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1992년
진호: 한국 아이돌 보이그룹 펜타곤의 멤버
김도형: 대한민국의 밴드 잔나비의 기타리스트
1993년 - 임주완: 대한민국의 성우
1994년
홍석: 한국 아이돌 보이그룹 펜타곤의 멤버
차영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송형주: 유튜버 핫소스의 멤버
1995년
스구타 히나: 일본의 성우
안효섭: 한국의 배우
휘인: 아이돌 그룹 마마무의 멤버
1997년 - 쿠마자와 세리나: 일본의 아이돌 HKT48의 멤버
1998년
장하경: 한국의 배우
박보인: 한국의 배우. 걸그룹 에이데일리의 前 멤버. 본명 박영비
1999년
변현민: 보이그룹 RAINZ의 멤버
최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엔도 히카리 : 일본 아이돌 사쿠라자카46의 멤버
2000년 - 혁: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그룹 TEMPEST의 멤버
2001년 - 류진: 한국 아이돌 그룹 ITZY의 멤버
2002년 - 레나: 걸그룹 공원소녀의 멤버
2003년 - 백지헌: 걸그룹 프로미스나인의 멤버
2006년 - 아사: 걸그룹 BABYMONSTER의 멤버
2011년 - 데자키 오사무(1943년~):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각본가
2014년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1927년~): 콜롬비아의 사실주의 소설가,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2019년 - 코이케 카즈오(1936년~): 일본의 소설가
2021년
김을분(1926년~): 대한민국의 배우
이현배(1973년~): 대한민국의 래퍼
코바야시 오사무(1964년~): 일본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감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