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민주의거(三八民主義擧)는 이승만 정권 시절인 1960년 3월 8일 3.15 대선을 앞두고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의 독재에 항거하여 대전시에서 대전지역 고등학생 1,000여명의 주도로 일어난 학생의거로 이 시위에서 학생을 무차별로 구타하고 연행하는 경찰에 분개하여, 3월 10일에 더 많은 대전 시민과 학생들이 경찰에 맞서 투석전까지 벌이는 규모로 시위가 커졌다. 3·8 민주의거는 이후 3·15 마산 의거와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10월 30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3·8 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정하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을 의결하고, 11월 2일에 공포하였다.
삼팔민주의거(三八民主義擧)는 1960년 3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 충청남도 대전 지역 고등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불법 ·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일어난 민주화운동이다. 이는 1960년 3월 8일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열리는 장면 민주당 부통령 후보 선거연설회의 참여를 막는 이승만 자유당 정권의 행위에 항의하여 일어난 운동이다.
삼팔민주의거는 충청남도 대전 지역 고등학생들이 1960년 3월 8일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열리는 장면 민주당 부통령 후보 선거연설회의 참여를 막는 경찰에 항의하여 일어났다.
집권 여당인 자유당은 1960년 3월 15일 실시되는 대한민국 제4대 정 · 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기 위하여 야당인 민주당의 선거 유세 방해를 비롯하여 각종 부정선거를 자행하였다. 그러나 자유당의 선거 유세 및 정치 행사에는 학생들을 직 · 간접적으로 동원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학원의 정치 개입의 반대를 주장하며 부정선거 반대 운동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 부정선거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대구의 2 · 28의거는 전국의 학생들에게 큰 자극제가 되었다. 대전 지역의 고등학생들도 3월 8일 오후에 개최되는 민주당 유세장인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집결하여 시위를 벌이기로 계획하였다.
3월 8일 대전 선거 유세에는 민주당 부통령 후보인 장면뿐만 아니라 민주당 대표인 박순천 등 당내 유명 인사들이 다수 참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자 대전교육청에서는 각 학교에 학생들이 유세장에 나오지 않게 훈육하라는 공문을 여러 차례 보냈으며, 각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민주당 유세의 참여를 막았다.
3월 8일 민주당 부통령 후보인 장면의 선거유세에 맞추어 대전고등학교 및 대전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거리로 나와 독재 타도와 학원의 자유를 외쳤다. 학생들은 유세장에 도착하기 전에 무장경찰의 강제 진압에 직면하였다.
충청남도경찰청과 대전경찰서 경찰들은 대전 지역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위 행렬에 바리케이드(barricade)주1를 치고 학생들을 무자비하게 폭행하였다. 학생들은 머리와 팔, 다리 등에 부상을 입어 피를 흘리는 등 상황은 참혹하였다.
학생들은 ‘학생을 정치 도구화하지 말라’, ‘학원에 자유를 달라’, ‘이승만 독재 물러가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하였다. 3월 9일 대전고등학교 학생 및 대전상업고등학교 학생들이 모임을 갖고 다시 시위를 계획하였으나 정보가 누설되어 학생들이 경찰에 연행, 구속되었다.
3월 10일에는 대전상업고등학교 학생들이 '학원의 자유를 달라', '친구를 빨리 내놓으라' 등의 구속 학생 석방을 요구하며 시위를 전개하였다. 대전의 삼팔민주의거는 이승만 자유당 정권에 저항하는 민주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삼팔민주의거는 1960년 3월 이승만 자유당 독재 권력에 맞서 대전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으킨 충청 지역 최초의 민주운동으로 평가받아, 2009년 대전시의회는 「3.8민주의거 기념조례」를 제정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삼팔민주의거는 4 · 19혁명의 기폭제 역할을 인정받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