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 (十二支)
한자
|
동물
|
음양
|
오행
|
계절
|
음력
|
24절기
|
시간
|
방위
|
12율
|
지장간
|
子(자)
|
쥐
|
양
|
水
|
겨울
|
11월
|
대설, 동지
|
23~01
|
0˚( 북 )
|
황종
|
壬(임·10), 癸(계·20)
|
丑(축)
|
소
|
음
|
土
|
겨울
|
12월
|
소한, 대한
|
01~03
|
30˚(북북동)
|
대려
|
癸(계·9), 辛(신·3), 己(기·18)
|
寅(인)
|
호랑이
|
양
|
木
|
봄
|
1월
|
입춘, 우수
|
03~05
|
60˚(동북동)
|
태주
|
戊(무·7), 丙(병·7), 甲(갑·16)
|
卯(묘)
|
토끼
|
음
|
木
|
봄
|
2월
|
경칩, 춘분
|
05~07
|
90˚( 동 )
|
협종
|
甲(갑·10), 乙(을·20)[21]
|
辰(진)
|
용
|
양
|
土
|
봄
|
3월
|
청명, 곡우
|
07~09
|
120˚(동남동)
|
고선
|
乙(을·9), 癸(계·3), 戊(무·18)
|
巳(사)
|
뱀
|
음
|
火
|
여름
|
4월
|
입하, 소만
|
09~11
|
150˚(남남동)
|
중려
|
戊(무·7), 庚(경·7), 丙(병·16)
|
午(오)
|
말
|
양
|
火
|
여름
|
5월
|
망종, 하지
|
11~13
|
180˚( 남 )
|
유빈
|
丙(병·10), 己(기·9), 丁(정·11)
|
未(미)
|
양
|
음
|
土
|
여름
|
6월
|
소서, 대서
|
13~15
|
210˚(남남서)
|
임종
|
丁(정·9), 乙(을·3), 己(기·18)
|
申(신)
|
원숭이
|
양
|
金
|
가을
|
7월
|
입추, 처서
|
15~17
|
240˚(서남서)
|
이칙
|
戊(무·7), 壬(임·7), 庚(경·16)
|
酉(유)
|
닭
|
음
|
金
|
가을
|
8월
|
백로, 추분
|
17~19
|
270˚( 서 )
|
남려
|
庚(경·10), 辛(신·20)[22]
|
戌(술)
|
개
|
양
|
土
|
가을
|
9월
|
한로, 상강
|
19~21
|
300˚(서북서)
|
무역
|
辛(신·9), 丁(정·3), 戊(무·18)
|
亥(해)
|
돼지
|
음
|
水
|
겨울
|
10월
|
입동, 소설
|
21~23
|
330˚(북북서)
|
응종
|
戊(무·7), 甲(갑·7), 壬(임·16)
|
간지 (干支)
|
|||||||||||
십간
|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
십이지
|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자정(子正)과 정오(正午)는 위와 같은 이유로 유래되었다. 참고로 술시는 초경(일경), 해시는 이경, 자시는 삼경, 축시는 사경, 인시는 오경으로 불렀다. 이 중에서 사경인 축시(丑時)의 경우는 한중일을 막론하고 동양권에서 굉장히 특이한 시간대로 취급했다. 하루 중 음기가 가장 왕성해 온갖 기이한 일들이 일어난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축시에는 바깥 거동을 금하는 미신이 있었다고도 한다. 시간은 초시(初時)와 정시(正時)로 구분한다. 자시(23시~새벽 1시)의 경우 오후 11시는 자초시, 오전 0시는 자정시가 되며, 술시(19시~21시)의 경우는 19시가 술초시, 20시는 술정시가 된다. 조선 시대에는 밤 시간은 주로 부정시법을 사용하여 초경, 이경, 삼경, 사경, 오경으로 구분했다.
사주팔자에서 시주(時柱)를 세울 때 위의 시간에서 각각 30분씩 뒤로 미뤄 시간을 정한다. 예를 들어 자시는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인데 이를 오후 11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1시 30분으로 미뤄서 사용하는 식이다. 그 이유는 사회적 편의상 일본과 같이 동경 135도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여 UTC+9 시간대로 정했는데, 이 자오선은 한반도를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30분 차이가 나는 동경 127도 30분 자오선이 대전 근처를 지나기 때문에 사주가들은 이 자오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따지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해 이렇게 12지지 시간을 정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내용을 읽는 사람은 혹시 사주를 보러 갈 일이 있다면 십이지지를 사용하여 시간을 말하지 말고 자기가 원래 태어난 시간을 말하도록 하자. 예를 들어 오전 1시 15분에 태어난 사람이 있다고 치자. 이 사람이 위의 시간표를 보고 사주가에게 본인의 생일이 축시라고 말하면 사주 상의 시간인 자시와 달라진다.
지장간은 십이지 속에 숨겨진 십간의 기운이라는 뜻으로, 명리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부분 중 하나이다. 본 표에서는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의 순서대로 기재하였으며 중기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옆의 숫자는 대략적인 비율이다.
음력에서는 동지가 들어 있는 달을 자월(子月)이라고 한다. 십이지의 시작이 子이니 이것이 1월이 될 법도 하지만, 한무제(기원전141-기원전87) 시절 두 달 뒤인 인월(寅月)을 1월로 정한 것이 이어져 자월은 11월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