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고위험군 [High risk group for Cancer]

반응형

  • 암 고위험군이란?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 나라 사람들이 기대수명까지 살아 있을 경우 세 명 중 한 명은 암을 진단 받는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암은 세포의 노화와 돌연변이에 관련되어 발생한다고 생각되며, 실제 많은 암은 중년 이후 나이가 들수록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보다 암을 진단 받을 위험도가 높은 사람이 있는데, 이런 분들을 ‘암 고위험군’ 이라고 합니다.

보통 암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전암병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자가면역질환이나 감염을 가지고 있는 경우, 유전성 암 증후군 (유전자 돌연변이)을 진단 받은 경우, 유전자 돌연변이를 진단 받지 않았으나 관련 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등이 ‘암 고위험군’에 해당합니다.

 

  • 전암병변 (precancerous lesion, premalignant lesion)이란?

 

많은 암은 정상 세포에서 암 세포로 변하기 전 단계가 있습니다. 진행성 샘종성 폴립 (대장암), 장상피화생 (위암), 단클론감마병증 (다발성골수종), 골수이형성증후군 (급성골수성백혈병) 등이 대표적인 전암병변이고, 대부분의 세포이형성은 발견된 장기의 암에 있어 전암병변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전암병변이 모두 암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며, 암으로 이행하는 시기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검사와 치료에 대해서는 주치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 암과 관련 있는 자가면역질환 (autoimmune disease)은?

 

자가면역질환은 외부의 나쁜 자극이나 감염, 암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 주는 면역세포가 몸의 정상적인 세포를 공격하게 되는 병입니다. 몸의 면역 체계가 잘못된 부분이 있고, 때로는 지나친 면역반응을 낮추기 위해 장기간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게 되므로 몇 가지 암의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염증성 장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전신성 루푸스, 피부근염, 다발성근염, 쇼그렌 증후군 등이 그 예입니다.

 

  • 암과 관련 있는 감염은?

 

헬리코박터균 (위암, 림프종),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간세포암), 인유두종 바이러스 (자궁경부암, 항문암, 일부 두경부암 등)가 대표적이며 간흡충,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도 암 발생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에는 예방접종 또는 약물치료를 통해 암 예방이 가능한 것도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와 진료가 필요합니다.

 

  • 유전성 암 증후군이란?

 

배선 유전자 돌연변이 (그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일반 인구에 비해 특정한 암의 발생 가능성이 보통 5배 이상 증가하는 경우이며, 같은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가족은 마찬가지로 암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가족 내에 비슷한 암을 가진 환자들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 그 외 암 가족력

 

뚜렷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라도 가까운 가족 내에 2명 이상 같은 암을 가진 사람이 발생한다면 가족성 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암종의 종류와 진단 나이, 나와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검진과 암 예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교정 가능한 생활 습관 요인은?

 

잘 알려진 위험 요인인 흡연은 폐암, 두경부암, 췌장암, 식도암, 위암, 비뇨기암 등 많은 암의 발생 가능성을 약 3-10배 높이고, 음주, 비만 역시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이므로 금연, 절주, 적절한 신체활동과 체중 조절은 모든 사람이 암 예방을 위해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