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번째(윤년일 경우도 34번째) 날에 해당한다.
02월 03일 실제
313년 - 밀라노 칙령: 로마 제국의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제국 내의 모든 사람들에게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고, 종교 박해 시기에 몰수한 교회의 재산 등을 다시 돌려주도록 하는 것에 대해 밀라노에서 합의했고, 그해 6월 13일 니코메디아에서 공포했다.
1451년 - 메흐메트 2세가 오스만 제국 술탄의 지위를 물려받았다.
1908년 - 그리스 축구 클럽 파나티나이코스 FC가 창단되었다.
1925년 - 황포군관학교에서 양성된 교군이 군벌 천중밍을 토벌하기 위해 출정함으로 국민당의 1차 동정이 시작되었다.
1942년 -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우베시에 있는 죠세이 탄광에서 해수 유입사고가 발생해 조선인 노동자 183명이 희생되었다.
1946년 - 퉁화 사건이 일어났다.
1977년 - 조원 일식집 화재 사고가 일어났다.
1985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데스몬드 투투 사제가 요하네스버그 성공회 주교로 임명되었다.
1989년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가 파라과이의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2005년 - 호주제 규정 민법 781조 1항 및 778조의 헌법불합치를 판결내렸다.
2009년 - 일본의 활화산 아사마 산이 폭발했다.
2016년
부천 여중생 백골 시신 사건이 일어났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국제공항역 ~ 용유역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0년 - 대한법률구조공단 소속변호사 노동조합이 파업에 들어갔다. 변호사들이 벌인 파업으로는 대한민국 사상 최초이다.
2023년
중국 정찰풍선 사건이 일어났다.
노퍽 서던 소속 화물열차가 오하이오주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화물에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오하이오-펜실베니아 국경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다.
2024년 - 강남 벤츠 음주운전 사건이 일어났다.
02월 03일 사건사고
1451년 - 메흐메트 2세가 오스만 제국 술탄의 지위를 물려받다.
1946년 - 통화 사건이 일어나다.
1977년 - 조원 일식집 화재 사고가 일어나다.
1985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데스몬드 투투 사제가 요하네스버그 성공회 주교로 임명됐다.
1989년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가 파라과이의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2005년 - 호주제 규정 민법 781조 1항 및 778조의 헌법불합치를 판결내렸다
2009년 - 일본의 활화산 아사마 산이 폭발했다.
02월 03일 실존인물
1809년 - 펠릭스 멘델스존(~1847년): 독일의 음악가
1830년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1903년): 44,46,49대 영국 총리
1859년 - 자오빙쥔(~1914년): 중화민국 3대 국무총리
1894년 - 렌초 데베키(~1967년): 이탈리아의 전 축구감독
1912년
야프 몰(~1972년):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엔리케 소렐(~1991년): 칠레의 전 축구 감독
1922년 - 문형태(~2006년): 대한민국의 군인
1941년 - 정풍송: 대한민국의 작곡가
1944년 - 김석곤: 대한민국의 특수임무유공자
1943년 - 후쿠모토 세이조: 일본의 배우
1953년 - 이와사키 시게루: 일본의 자위관
1956년 - 네이단 레인: 미국의 배우
1958년 - 그레고리 맨큐: 미국의 경제학자
1959년 - 제프리 두셋(~1984년): 제프리 두셋 살인사건의 피해자이자 가해자
1960년 - 요아힘 뢰브: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64년 - 타가메 겐고로: 일본의 만화가
1967년
김나연: 대한민국의 성우
오카모토 마야: 일본의 성우
1968년 - 블라디 디박: 세르비아의 前 농구선수
1969년 - 보 바이든(~2015년): Beau Biden,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장남
1970년 - 위윅 데이비스: 영국의 배우
1971년
현진영: 대한민국의 가수
홍석천: 대한민국의 방송인
1972년 - 윤도현: 대한민국의 가수
1973년 - 이상민: 대한민국의 가수
1974년 - 김제동: 대한민국의 방송인
1975년 - 김기철: 대한민국의 수능 영어 강사
1976년
김동주: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대디 양키: 푸에르토리코의 가수
1978년 - 채리나: 한국의 가수
1979년 - 쿠사나기 미즈호: 일본의 만화가
1980년
김이지: 한국의 가수, 배우
정성일: 대한민국의 배우
1983년
강호철: 대한민국의 성우
곽용섭: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1984년
김준: 대한민국의 배우
유사랑: 대한민국의 재즈 가수
1985년 - 한승엽: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1986년 - 야나기하라 카나코: 일본의 코미디언
1988년 - 규현: 대한민국의 가수, 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
1989년 - 지아: 대한민국의 걸그룹 미쓰에이의 전 멤버
1990년
스즈키 미사키: 일본의 성우
코하라 리코: 일본의 성우 및 기타리스트
우라오 타케히로: 일본의 성우
1991년
염혜선: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윌리 볼리: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1992년 - 표예진: 대한민국의 배우
1993년 - 류소영: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1994년
윤설: 대한민국의 배우
와다 하야테: 일본의 댄서, 그룹 Da-iCE의 멤버
김진욱(뮤지컬 배우): 뮤지컬 배우
1996년
타즈미 리쿠: 일본의 기업인
앵보: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정순호: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前 밴드 라피스라줄리의 멤버
1997년
이게타 히로에: 일본의 모델, 배우
플럼: 대한민국의 가수
1998년 - 한왕호: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Peanut"
1999년
가현: 대한민국의 걸그룹 드림캐쳐의 멤버
김지범: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골든차일드의 멤버
하세영 : ARTBEAT댄서
하시모토 칸나: 일본의 가수, 배우, 걸그룹 Rev.from DVL의 멤버
카운터: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2000년
비타: 대한민국의 걸그룹 MAJORS의 멤버
송대현: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2001년
양경식: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진: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2002년
레온 브롤베브: 크로아티아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goblin'
라두 드라구신: 루마니아의 축구 선수
2004년 - 레이: 걸그룹 IVE의 멤버
2005년 - 공유빈: 대한민국의 걸그룹 tripleS의 멤버
02월 03일 문화
1908년 - 그리스 축구 클럽 파나티나이코스 FC 창단
1982년 - 한국프로야구 원년, 삼성 라이온즈가 대구·경북을 연고지로 창단되었다.
1997년 - 아리랑국제방송 국내방송 개국.
2016년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인천국제공항역 ~ 용유역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02월 03일 기념일
한국수어의 날: 한국수어가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농인의 공용어로 인정받게 되는 날인 「헌국수화언어법」 제정일을 기념해 한국수어 사용 권리를 신장하고 한국수어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된 법정 기념일이다. 2020년 9월, '한국수어의 날'을 2월 3일로 지정하는 「한국수화언어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되었으며 이 개정안은 12월 2일에 통과되어 12월 22일에 공포되어 관련 법정 기념일이 되면서 2021년에 처음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제 2회(2022) 한국 수어의 날에서는 KBS 앵커와 수어 통역사가 같은 비율로 클로징 멘트를 진행해 화제였다.
세쓰분: 봄의 전날을 의미한다.
국제 당근 케이크의 날
02월 03일 실제,사건사고 , 실존인물 , 문화 , 기념일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