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07일 실제,사건사고 , 실존인물 , 문화 , 기념일

반응형

 

12월 07일 실제

1400년 - 이방원이 조선의 왕위에 올랐다.
1930년 - 마오쩌둥이 홍20군을 숙청, 부전사변이 시작되었다.
1941년 - 일본 제국이 진주만 공습을 감행했다. 이 공습으로 인해 미국은 충격에 휩싸였고, 태평양 전쟁으로 이어지게 된다.
1949년 - 중화민국이 국공내전에서 중국공산당에게 패배하면서 국부천대를 시행했다.
1964년 - 국내 2호 상업 TV 방송 채널[1] TBC TV(현 KBS 2TV)가 채널 7번으로 개국했다.
1972년 - 아폴로 17호가 발사되었다.
1988년 - 아르메니아 대지진이 일어났다.
1991년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착공을 시작하였다.
1994년 -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1995년 - 갈릴레오호가 목성 궤도에 진입했다.
2003년 - 을용타가 발생했다.
2007년 -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가 일어났다.
2015년 - JAXA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의 아카츠키 탐사선이 금성 궤도에 진입했다.
2020년 - 아이즈원의 한국 미니 4집 앨범이자 아이즈원의 마지막 앨범인 One-reeler가 오후 6시에 발매되었다.
2022년
독일에서 독일연방공화국을 전복하려는 극우 왕정복고 쿠데타 음모인 2022년 독일 쿠데타 모의가 발생했다.
페루에서 페드로 카스티요 전 대통령의 친위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갔다.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아스타나 안야르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12월 07일 사건사고

기원전 43년 - 로마시대의 정치가이자 웅변가인 키케로가 암살되다.
574년 - 유스티누스 2세가 정신병으로 인해 퇴위하고 황후 소피아가 티베리우스 장군을 부제(caesar)로 삼고 공동으로 섭정을 맡다.
1787년 - 델라웨어주가 미국의 첫 번째 주가 되다.
1941년 - 태평양 전쟁, 진주만 공습
1970년 - 빌리 브란트총리의 바르샤바의 무릎 꿇기
1949년 - 국부천대
1964년 - 대한민국의 무즙 파동
1994년 - 대한민국의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를 일어나다.
2007년 - 대한민국의 태안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되다.
2020년 - 대한민국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수도권 2.5단계 격상되다.

12월 07일 실존인물

521년 - 콜룸바(~597년): 아일랜드의 수도자, 선교사
1810년 - 테오도어 슈반(~1882년): 독일의 생리학자
1823년 - 레오폴트 크로네커(~1891년): 독일의 수학자
1863년 - 피에트로 마스카니(~1945년): 이탈리아의 작곡가
1870년 - 이상설음력(~1917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1872년 - 남자현(~1933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1873년 - 윌라 캐더(~1947년): 미국의 소설가
1883년 - 가스통 바로(~1958년): 프랑스의 축구 감독
1884년 - 박상진(~1921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1889년 - 가브리엘 마르셀(~1973년): 프랑스의 철학자
1896년 - 위다푸(~1945년): 중화민국의 소설가, 혁명운동가
1904년 - 강량욱(~1983년): 북한의 정치인
1905년 - 제러드 카이퍼(~1973년): 네덜란드 출신의 미국 천문학자
1909년 - 마리오 피치올로(~1990년):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1909년 - 박태원음력(~1986년): 한국의 소설가
1915년 - 일라이 월랙(~2014년): 미국의 배우
1927년 - 이낙선(~1989년): 대한민국의 前 군인, 관료, 기업인
1928년 - 놈 촘스키: 미국의 언어학자
1931년 - 정진석 니콜라오(~2021년): 대한민국의 2번째 가톨릭 추기경
1936년 - 정상영(~2021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1937년 - 이종환(~2013년): 한국의 방송인, 라디오 진행자
1945년 - 안명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한국 가톨릭의 성직자. 천주교 마산교구 제4대 교구장
1947년 - 자니 벤치: 미국의 前 야구선수
1949년 - 톰 웨이츠: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1952년 - 수전 콜린스: 미국의 정치인
1954년 - 이향숙: 대한민국의 성우
1956년 - 래리 버드: 미국의 농구선수
1957년
다카하시 가쓰노리: 일본의 정치인
모리 히로시: 일본의 소설가
1964년
박영순: 새미래민주당 소속 정치인
윤일현: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
1965년
제프리 라이트: 미국의 배우
카가와 테루유키: 일본의 배우
1966년
겜 아처: 오아시스, 비디 아이의 기타리스트
이토 카즈에: 일본의 배우
1967년 - 한병도: 대한민국의 정치인
1968년 - 그레그 에어스: 미국의 성우
1970년 - 전미선(~2019년): 대한민국의 배우
1971년 - 류태준: 대한민국의 배우
1974년 - 강풀: 대한민국의 만화가
1977년 - 도미닉 하워드: 영국의 록밴드 Muse의 멤버
1978년 - 디기리: 한국의 래퍼, 그룹 허니패밀리의 맴버
1980년 - 정인: 대한민국의 가수
1980년 - 존 테리:영국의 축구선수
1981년 - 윤병희: 대한민국의 배우
1982년
김경언: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음문석: 대한민국의 배우
잭 휴스턴: 영국의 배우
1984년 - 양동이: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1985년 - 존 목슬리: 미국의 프로레슬러
1986년 - 천재원: 대한민국의 가수
1987년
아론 카터(~2022년): 미국의 가수
박찬수: 대한민국의 前 프로게이머
1988년
김도연: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선영: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에밀리 브라우닝: 호주의 영화배우
1989년 - 니콜라스 홀트: 영국의 배우
1990년
야시엘 푸이그: 쿠바의 야구선수
팡이요: 대한민국의 아프리카TV BJ
1991년
크리스 우드: 뉴질랜드의 축구 선수
테이크원: 한국의 가수, 래퍼
사쿠라다 도리: 일본의 배우
전보람: 대한민국의 모델
1992년
채희선: 대한민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1993년 - 정다운: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1994년
하뉴 유즈루: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이정훈: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1995년
김소원: 대한민국의 걸그룹 여자친구의 멤버이자 배우
최성민: 남녀공학, SPEED 전 멤버이자 배우
김재훈: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Fenix'
이병권: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KaKAO'
EmoCosine: 대한민국의 동인 음악 작곡가
1996년 - 이다빈: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1997년 - 텐마 유우키: 일본의 성우
1998년 - 하남: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1999년 - 한결: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그룹 BAE173의 멤버
2000년
서민규: 한국의 래퍼, 고등래퍼 3 참가자
권휘: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2001년 - 카엘: 보이그룹 LUN8의 멤버
2003년 - 이탁수: 대한민국의 배우, 배우 이종혁의 장남

12월 07일 문화

1964년 - 동양방송 텔레비전 방송 개국.
2017년 - 블레즈-디아뉴 국제공항 개항.

12월 07일 기념일

대설
24절기 중 21번째 절기이자 12월의 첫 절기인 대설이 보통 12월 7일에 온다.[2] 직역하면 '아주 많은 눈이 오는 때'이지만 24절기는 중국 화북 지방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이 시점에 폭설 가능성이 다소 적다. 중부지역보다 기온이 다소 높은 영호남 일부 지역에서는 대설 절기를 즈음해서 겨울철 첫눈이 관측되기도 한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한겨울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국제 민간 항공의 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