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植木日, Arbor day)은 나무를 많이 심고 아껴 가꾸도록 권장하기 위한 기념일이다. 대한민국은 매년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하고 있다.
Illustrated by 여울 Yeouul
매년 4월 5일이다. 이 날의 제정유래는 신라가 당나라의 세력을 한반도로부터 몰아내고, 삼국통일의 성업을 완수한 677년(문무왕 17) 2월 25일에 해당되는 날이며, 또한 조선 성종이 세자·문무백관과 함께 동대문밖의 선농단에 나아가 몸소 제를 지낸 뒤 적전(籍田)을 친경(親耕)한 날인 1493년(성종 24) 3월 10일에 해당되는 날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이 날은 통일성업을 완수하고, 왕이 친경의 성전(盛典)을 거행한 민족사와 농림사상에 매우 뜻있는 날일 뿐만 아니라, 계절적으로 청명(淸明)을 전후하여 나무 심기에 좋은 시기이므로, 1949년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을 제정하여 이 날을 식목일로 지정하였다.
그 뒤 1960년에 식목일을 공휴일에서 폐지하고, 3월 15일을 ‘사방(砂防)의 날’로 대체 지정하였으며, 1961년에 식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어 공휴일로 부활되었다.
1982년에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나, 2006년부터 다시 공휴일에서 폐지되었다.
이 날은 전국의 직장·학교·군부대·마을 단위별로 토양에 적합한 나무를 심는데, 수종별 식재기준(植栽基準), 그루당 시비기준량(施肥基準量), 수종별 추비기준량(追肥基準量)에 따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한편, 이 날을 전후하여 1개월 동안을 ‘국민식수기간’으로 설정하여 경제적인 산지자원화를 도모하고 있다.
기원전 636년, 청명과 한식이 생겼다. 이 무렵에 성묘를 가서 벌초 및 식목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기원전 4세기, 옥저 시대부터 한민족은 온돌 방식 난방을 이용하면서 땔감 확보를 위한 벌목이 잦아졌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소빙하기 영향으로 온돌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벌목이 증가하면서 온 국토가 민둥산 일색이 되었다. 오죽하면 조선시대 전래동화에 나오는 고정 레퍼토리 중 하나가 "땔감용 나무를 베러 산에 올라갔다가 호랑이를 만난다"일 정도였고, 20세기에도 마찬가지여서 1932년 김동인의 소설 붉은 산도 이러한 모습을 잘 보여준다.
676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당나라를 몰아낸 음력 2월 25일이 양력으로 계산하면 4월 5일이다.
983년, 고려 성종 때 이 날 즈음 왕이 직접 농사를 짓는 '친경의례'를 만들어 조선까지 이어졌다.
1493년, 조선 성종 역시 세자와 문무백관들과 함께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 날이 이 날이다.(음력 3월 10일, 양력 4월 5일)
1860년, 천도교의 창시자 수운 최제우가 음력 4월 5일에 동학의 깨달음을 얻었다.
1910년, 대한제국 순종이 친경의례 중 밭을 갈았을 뿐만 아니라 직접 나무도 심었다.
1911년,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는 쇼와 천황(昭和天皇)의 생일이 4월 5일이었으므로 이와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식목일 행사를 4월 3일로 옮겼다.
1937년, 처음 본격적인 범국가적 식수 운동이 생겨났다. 일본제국이 각 학교별로 나무를 심는 캠페인을 벌였는데, 전시동원의 일환이었다.
1946년, 일본제국이 패망하자, 미 군정은 식목일을 다시 4월 5일로 환원했다.
1948년 이승만 정부에서 식목일을 제정하고, 1949년에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으로 이 날을 식목일로 지정하고 한국의 법정 공휴일로 지정했다.
1953년~, 한국전쟁 이후 난방용 석탄 도입과 함께 대대적인 녹화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 시기는 산림자원 황폐화가 심각한 사회 문제였기에 이 때 식목일이 함께 지정되었으며, 대통령부터 앞장서서 온 국민이 식목일에 나무심기 행사에 동원되었다. 이 시기 "지리산 도벌 문제가 심각해서 국회에서 진상조사에 나선다" 같은 기사가 보이곤 하는데, 도벌이 바로 몰래 나무를 베어간다는 의미다. 이 당시는 국유림의 울창한 산림도 마구잡이로 베어낼 만큼 심각했다는 말이었다.
1959년엔 대체공휴일도 시행되었으나, 1960년엔 3월 15일이 '사방(砂防)의 날'로 대체 지정되면서 공휴일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1961년에 식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어 산림법 제정으로 범국민 조림 정책 시행과 동시에 공휴일로 부활했다. 천도교와의 관련성 때문에, 박정희 정권 실세 중 한 명이었고 1986년 월북한 최덕신의 입김이 있었다는 주장도 나돌았다. 그는 외무부 장관과 서독 대사를 지냈고 퇴임 이후 천도교 교령을 지낸 군 장성 출신이었다.
아무튼 1960년대에 내무부 산하 산림청이 신설되었고 국무총리가 녹화사업을 진두지휘하는 등 정부차원에서 산림녹화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덕분에 녹화사업은 10여년 만에 성공적으로 완수되었고, 산림녹화사업은 세계적인 모범사례로 기록되며 온 국토에 풍요로운 산림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빠른 산림정착을 위해 유실수보다는 아카시아 등 빨리 자라는 나무를 심었기 때문에 일부 산촌 어르신들 중에서는 "산을 버려놨다"는 비판의 목소리 또한 있기도 하다. 이후 국립산림과학원 등에서 산림의 고도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
1981년, 한국프로야구가 생겨나며 개막일을 '공휴일'인 식목일을 전후로 잡았다.
1990년, 당시 한글날, 국군의 날과 함께 공휴일을 제외를 검토했으나, 매년 한식과 겹치다는 점으로 그대로 유지했다.
1997년, IMF 사태로 경제가 어려워지자 공휴일에서 제외하자는 검토가 있었다.
2002년, 식목일을 '4월 첫째 토요일', 어린이날을 '5월 첫째 토요일'로 요일을 고정하자는 검토가 있었다.
2004년, 주5일제 시행으로 휴일을 줄이자는 검토가 있었다.
사실 불 피우지 말고 찬 음식만 먹자는 한식에 놀러가서 취사하고 담배 피다 나무 심자는 날에 산불을 내는 경우가 있어왔다. 결정적으로 담뱃불로 인한 실화로 추정되는 2005년 양양 산불에 낙산사가 전소되고 문화유산인 동종이 소실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또한 이 무렵 노무현 정부가 주 5일 근무 제도를 공공기관부터 보급하자 그 반동으로 생산성 저하를 우려로 공휴일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생겨나서 이와 맞물려 제헌절과 함께 2006년부로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모순적이게도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자마자 행락객이 줄어서인지 4월에 발생하는 산불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2007년, 식목일을 지구 온난화 등으로 나무 심기 좋은 날이 옮겨진만큼, 3월로 옮기자는 주장이 나왔으나, 상징성을 이유로 기념일은 놔두기로 했다.
2012년, 손학규 의원의 "저녁이 있는 삶" 문구가 유행하며, 노동시간을 줄일 방안으로 공휴일 부활 주장이 나왔다.
2013년, 유정복 안전행정부장관이 국립산림과학원의 제안에 따라, 식목일을 평균기온이 6.5도를 기록하는 3월 중순경으로 옮기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밝혔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2018년 4월 4일, 미세먼지 급증으로 식목의 중요성이 커지자 공휴일로 부활 주장이 나왔다. 이용호 무소속 의원이 식목일을 공휴일로 부활시키는 법안을 발의했다.
2019년 4월 5일, 2019년 고성-속초 산불과 2019년 강릉-동해 산불로 인해 비극적인 하루가 되었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식목일 행사를 취소하고 전국 규모의 소방인력 투입을 지시하여 산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였다.
2021년 3월 3일, 산림청이 식목일 3월로 변경 및 부활 추진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가장 큰 이유는 지구 온난화로 '나무 심기 적당한 기온'이 빨리 찾아오는 것. 3월로 옮기자는 주장에 대해 응답자 56%가 찬성했다. 구체적인 날짜는 세계 산림의 날인 3월 21일이 많이 꼽힌다.
2021년 4월 5일, 민형배 의원이 식목일을 3월 20일로 변경한 뒤 공휴일로 부활시키는 법안을 발의했다.
2021년 5월 24일, 김성원 의원이 식목일을 공휴일로 부활시키는 법안을 발의했다.
2021년 6월 12일, 서영교 의원이 식목일을 공휴일로 부활시키는 법안을 발의했다.
우리나라 외에도 계 여러 나라에 고유의 식목일이 있다. 대개 3~4월에 있지만 정하기 나름이라 1월, 6월, 7월, 12월에 식목일이 있는 나라도 있다. 물론 그렇다고 전부 공휴일로 지정된 것은 아니며 주로 학생들 위주로 나무를 심는다.
1872년 4월 10일,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제1회 식목행사가 열렸다. 제2회부터는 식목 운동을 주장한 J. S. 모텅의 생일인 3월 22일을 아버데이(Arbor Day: 나무의 날)로 삼기로 한다. 그 이후로는 날짜를 바꾸다가 매년 4월 마지막주 금요일로 삼았다. 실제로는 미국은 지역마다 기후 편차가 커서 실제 행사일은 지역마다 다르다.
1947년, 북한은 식수절을 제정했다. 해당 문서 참고.
1948년, 일본은 쇼와 덴노의 생일인 4월 29일을 '녹색의 날'로 제정하여 식목일과 천황 생일 기념을 겸하도록 했었다가 2007년 녹색의 날을 5월 4일로 변경하고 4월 29일은 쇼와의 날로 개명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식목일은 5월 4일이다. 원래 5월 4일은 5월 3일 헌법기념일과 5월 5일 어린이날 사이에 낀 '국민휴일'이었다.
1966년, 호주는 7월의 마지막 금요일을 '학생 식목일 (Schools Tree Day)', 마지막 일요일을 '국가 식목일 (National Tree Day)'로 삼는다.
2023년, 케냐가 11월 13일을 식목일로 신규 지정했다.
그 외 독일 4월 25일, 호주 7월 30일, 중국 3월 12일, 브라질 8월 21일, 네덜란드 3월 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9월 1일 등이다. 뉴질랜드는 세계 환경의 날인 6월 5일에 식목을 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