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성 치매의 식사요법 Vascular dementia

반응형
  • 혈관성 치매란?

 

혈관성 치매란 뇌혈관 문제로 인해 뇌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병이예요. 

병의 진행이 서서히 됨에 따라 식욕, 갈증, 포만감 등을 인식하지 못해 체중감소나 체중증가 등의 체중 변화와 소화불량, 변비, 탈수, 연하장애 등의 영양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태에 맞는 적절한 영양관리가 필요해요.

 

  • 혈관성 치매의 식사요법

 

식사는 씹고 삼키기 쉬운 음식으로 적정량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도록 해요. 한 번에 충분량 섭취가 어렵다면, 하루에 4-6회 식사 또는 간식을 섭취해도 좋아요.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고, 체중이나 식사량이 감소했다면, 영양밀도가 높은 음식이나 영양보충음료를 제공할 수 있어요. 변비가 있으면 섬유소가 풍부한 전곡류, 채소, 과일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해요. 

탈수 시에는 치매증상이 심해지므로 물과 음료수를 눈에 잘 띄는 곳에 두어 수시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그러나, 연하장애가 있으면 물, 주스, 미음 등의 액상 식품은 흡입의 위험이 있으므로 점도증진제를 사용하여 농도를 조절하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어요. 거의 침대에 누워있고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으면 경관급식을 고려할 수 있어요.

 

채소, 과일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

 

식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TV나 라디오 등 소음이 없는 조용한 분위기에서 식사하도록 해요. 보호자가 함께 식탁에 앉아 환자가 모방할 수 있도록 적합한 행동과 식사 섭취를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자꾸 돌아다니는 환자에게는 손가락으로 집어먹을 수 있는 음식(핑거 푸드)을 도시락 등의 용기에 담아서 들고 다니도록 하며, 식탁, 테이블보, 식기류는 단순한 색과 모양을 선택하고 잘 깨지지 않는 것을 사용하도록 해요.

 

  • 혈관성 치매의 예방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비만, 흡연, 음주, 운동량 부족 등이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위험요인의 조절을 통해 예방이 가능해요. 하나하나의 영양 성분을 따지는 것보다는 전반적인 식사습관을 잘 조절하는 것이 더 중요해요.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적색육 보다 생선을 즐겨 먹고, 도정을 덜한 곡물(현미, 보리, 귀리 등)과 식물성 기름, 채소와 과일, 콩류, 견과류 등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혈관성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해요. 

비만은 치매 발생을 증가시키는 위험 인자이므로 정상체중을 유지하고, 배불리 먹는 것보다 조금 부족하게 먹으면 치매 발생을 촉진하는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생성과 축적이 줄어들어 치매 위험이 감소할 수 있어요. 

음식을 싱겁게 섭취하고 흡연, 음주, 지나친 카페인 섭취는 피해야 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