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 모음 시작 단어 (ㄱ,ㄲ) - 2

반응형

한국 속담 모음 시작 단어 (가) - 2

굽은 나무는 길마가지가 된다
굽은 지팡이는 그림자도 굽어 비친다
굿 뒤의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못하는 무당 장구 타박한다
굿 하고 싶어도 맏며느리 춤추는 꼴 보기 싫어 못한다
굿들은 무당 재들은 중
굿이나 보다 떡이나 먹지(먹으면 된다)
궁바가지를 타고나다
궁지에 빠진 쥐가 고양이를 문다
궁한 뒤에 행세를 본다
권에 못이겨 방림 산다
권에 비지떡
귀 막고 방울 도적질하기
귀가 도자전 마루구멍이라
귀뚜라미 풍류하겠다
귀머거리 눈치 빠르다
귀머거리 삼 년에 벙어리 삼 년
귀머거리 제 마음에 있는 소리 한다
귀소문 말고 눈소문 내라
귀신 같지 않은게 사람 잡는다
귀신 듣는 데 떡소리
귀신 아홉 죽은 것 보았다는 이와 같다
귀신도 부작을 알아본다
귀신은 경문에(경에) 막히고 사람은 인정에 막힌다
귀신을 피하려다 호랑이를 만났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염은 제 등에 짊어지고 다닌다
귀한 것은 상량문
귀한 나그네 새벽에 온다
귀한 자식 매 한 개 더 때리고 미운 자식 떡 한 개 더 준다
귀한 자식 매로 키운다
그 꼴을 보느니 신첨지 신 꼴을 보겠다
그 집 장 한 독을 다 먹어 보아야 그 집 일을 잘 안다
그날 액은 독 안에 앉아도 오고야 만다
그믐밤길에 등불 만난 듯
그믐밤에 홍두깨 내밀 듯
그믐에 안된 것이 초생에 되는 수도 있다
근심에는 여위고 설음에는 살찐다
근원 벨 칼이 없고 근심 없앨 약이 없다
근참 가는 배도 둘러 먹는다
근처 무당 영한 줄 모른다
글 모르는 귀신 없다
글 못한 놈이 붓을 고른다
글 속에 글이 있고 말 속에 말이 있다
글 잘하는 자식 낳지 말고 말 잘하는 자식 낳으라
글방 근처도 못 가보다
글에서 잘되고 못된 것은 내게 달렸고 시비하고 칭찬하는 것은 남에게 있다
글은 제이름 석자나 알면 족하다
글이 뱃속에 들다
글자는 병사와 같고 글뜻은 장수와 같다
금 판 돈도 돈이고 똥 판 돈도 돈이다
금강산 그늘이 관동 팔십리 간다
금강산도 식후경
금관자서슬에 큰 기침 한다
금년 새다리가 명년 소다리보다 낫다
금돈도 안팎이 있다
금방 먹을 떡에도 소를(살을) 박는다
금방망이 우려먹듯
금사망을 쓰다
금자탑을 쌓다
금쟁이 금 불리듯
금정 놓아 두니 여우가 지나간다
금주에 누룩 흥정
금천 원이 서울 올라다니듯
급하기는 콩마당에 서슬 치겠다
급하다고 갓 쓰고 뒤보랴(똥 싸랴)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까
급하면 나라님 감투끈 살 돈도 잘라 쓴다
급하면 부처다리를 안는다
급하면 업은 아이도 찾는다
급한 길은 에워 가라
급한 불을 끈다
급한 새가 품안으로 날아드는 것은 쫓지 않는다
급히 데운 방이 쉬 식는다
급히 먹는 밥이 목이 멘다
기 들고 나팔 불고 북 친다
기갈(기근)이 감식
기기도 전에 날기부터 한다
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기둥을 치면 보짱이(대들보) 운다(울린다)
기름 먹인 가죽이 부드럽다
기름 엎지르고 깨 줏기
기름독에 빠졌다 나온 것 같다
기름맛을 본 개
기린은 잠자고 시라소니가 춤춘다
기린이 늙으면 노마만 못하다
길 닦아 놓으니까 거지가(미친년이) 먼저 지나간다
길 아래 돌부처
길 아래 돌부처도 돌아앉는다
길가에 집 짓기
길가의 조약돌 같다(처럼)
길고 짧은 것은 재어 보아야(대 보아야) 안다
길동무가 좋으면 먼 길도 가깝다
길로 가라니까 메로 간다
길마 무거워 소 드러누울까
길쌈 잘하는 첩
길에 돌도 연분이 있어야 찬다
길은 갈 탓이요 말은 할 탓이라
길을 두고 메로 갈까
길을 떠나려거든 눈썹도 빼놓고 가라
길을 막고 물어보라
길이 멀면 말의 힘을 알고 날이 오래면 사람의 마음을 안다
길이 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면 듣지 말라
길이 없으니 한 길을 걷고 물이 없으니 한 물을 먹는다
김씨가 먹고 이씨가 취한다
김칫국 먹고 수염 쓴다
깊고 얕은 것은 건너 보아야 안다
깊던 물이라도 얕아지면 오던 고기도 안 온다
깊은 산에서 목마른다고 하면 호랑이를 본다(만난다)
깊이 간직한 것은 빈 것 같이 보인다
까기 전에 병아리 세지 말라
까다롭기는 옹생원 똥구멍이다
까마귀 게발 던지듯 (한다)
까마귀 꿩 잡을 계교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까마귀 대가리가 희거든
까마귀 떡 감추듯 (한다)
까마귀 모르는 제사
까마귀 미역감듯 (목욕하듯)
까마귀 아래턱 떨어질 소리 한다
까마귀 알(을) 받아먹듯 (한다)
까마귀 열두 가지 소리 다 잘해도 마지막에는 저 맞아죽을 소리 한다
까마귀 오디를 나무랄 때가 있다
까마귀 제아무리 흰칠을 하여도 백조로 될 수 없다
까마귀 짖어 범 죽으랴
까마귀 학이 되랴
까마귀 호통
까마귀(가) 검기로 속(마음)도 검을까
까마귀가 고욤을 마다할까
까마귀가 까마귀눈알 빼 먹지 않는다
까마귀가 까치보고 검다 한다
까마귀가 까치집을 뺏는다
까마귀가 메밀을 마다한다
까마귀가 아저씨 하겠다
까마귀가 열두 번 울어도 까욱소리뿐이다
까마귀가 오지 말라는 격
까마귀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
까마귀고기를 먹었느냐
까마귀는 검어도 살은 (아니 검다) 희다
까마귀도 내 땅 까마귀라면 반갑다
까마귀도 반포의 효도가 있고 비둘기도 예절을 안다
까마귀둥지(둥우리)에 솔개미 앉힌다(앉는다)
까마귀똥도 약에 쓰려면 오백 냥이다
까마귀똥도 약이라니까 물에 싼다
까막까치 소리를 다 한다
까막까치도 집이 있다
까먹는 새를 쫓는다
까치뱃바닥 같이 흰소리 한다
깎은 밤 같다
깝진 여편네 첫아이 낳기만이나 한다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 없다
깨진 그릇 맞추기
깨진 냄비와 꿰맨 뚜껑
깨진 동이 삼 년 간다
깻묵에도 씨가 있다
꺼내 먹은 김칫독 (같다)
꺽꺽 푸드득 장끼 갈 제 아로통 까투리 따라가듯 (한다)
꺽지탕에 개구리 죽는다
꺾일지언정 굽히지 않다
껍질 상하지 않게 호랑이를 잡을까
꼬기는 칠팔월 수숫잎 꼬이듯 (한다)
꼬리 먼저 친 개가 밥을 나중 먹는다
꼬리가 길면 밟힌다
꼬리가 있어야 흔든다
꼭뒤에 부은 물이 발뒤꿈치로 흐른다(내린다)
꼭뒤에 피도 안 마르다
꼭지가 물러야 감이 떨어진다
꼴 같지 않은 말은 이도 들춰보지 않는다
꼴 베어 신을 삼겠다
꼴 보고 이름 짓는다
꼴뚜기장사가 되었다
꼴에 군밤 사 먹겠다
꼴에 수캐라고 다리 들고 오줌 눈다
꼴이 떡 사먹을 꼴이라
꼿꼿이 서서 영을 기다린다
꼿꼿하기는 개구리 삼킨 뱀이다
꼿꼿하기는 서서 똥 누겠다
꽁지 빠진 수탉(새)
꽃 떨어진 화분
꽃 본 나비 담 넘어가랴
꽃 본 나비 불을 헤아리랴
꽃 없는 나비
꽃샘잎샘에 설늙은이(반늙은이) 얼어 죽는다
꽃은 꽃이라도 호박꽃이다.
꽃은 목화가 제일
꽃은 웃어도 소리가 없고 새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
꽃이 고와야 나비가 모인다
꽃이 먼저 피고 열매는 나중 맺는다
꽃이 시들면 오던 나비도 안 온다
꽃이리에 바람 꽃 핀다
꾀 당나귀 같다
꾀만 있으면 용궁에 잡혀 갔다가도 살아 나온다
꾀병에 말라 죽겠다
꾸레미에 단장 들다
꾸어온 조상은 자기네 자손부터 돕는다
꾼 값은 말 닷 되
꿀 먹은 개 욱대기듯 (한다)
꿀 먹은 벙어리
꿀보다 약과가 달다
꿀은 달아도 벌은 쏜다
꿀은 적어도 약과만 달면 된다
꿈 꾸기 전에 해몽
꿈에 구렁이를 보면 큰 재물이 생긴다
꿈에 나타난 돈도 찾아먹는다
꿈에 넋두리로 안다
꿈에 떡 같은 소리
꿈에 본(얻은) 돈(천 냥)이다
꿈에 사위 본 듯(하다)
꿈에 서방 맞은 격
꿈에 용을 보면 아들을 낳는다
꿈은 아무렇게나 꾸어도 해몽만 잘하여라
꿈은 졸(자)다가도 꾼다
꿈을 꾸어야 임을 본다
꿈인지 생시인지 모른다
꿈적거려야 먹을 것이 생긴다
꿩 구워 먹은 자리(소식)
꿩 대신 닭도 쓴다
꿩 먹고 알 먹고 둥지 털어 불 땐다
꿩 잃고 매 잃는다
꿩 잡는 게 매
꿩 잡으러 갔다가 노루 잡는다
꿩무리에 학
꿩이 머리만 풀에 감추듯 (한다)
꿩처럼 굴레를 벗고 쓴다
끈 떨어진 갓
끈 떨어진 망석중
끓는 국맛 모른다
끓는 국에 국자 누르기
끓던 가마에 찬물 끼얹은 듯(하다)
끓여놓은 죽이 밥이 될까
끝 부러진 송곳
끼니 없는 놈에게 점심 의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