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종양 [Pituitary tumor]

반응형

 

  • 뇌하수체종양이란?

뇌하수체란 뇌 정중앙 시상하부 아래에 위치하는 크기 1.5cm 내외, 무게 1g 미만의 아주 작은 구조물로서, 전신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입니다.
뇌하수체종양(pituitary tumor) 혹은 뇌하수체선종(pituitary adenoma)이란 뇌하수체에 생기는 양성 종양을 뜻합니다.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고 여자에서 약간 더 호발하며, 30-50대에서 빈도가 높으나 청소년 및 노년에서도 발견됩니다. 성장 속도가 느린 것이 일반적이며 주변 조직으로 침윤성 성장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뇌하수체종양은 그 크기에 따라 1cm 미만을 미세선종, 1cm 이상을 거대선종으로 구분하며, 특성에 따라 비기능성과 기능성 종양으로 나눕니다.

 

  • 뇌하수체종양의 원인 

특별히 밝혀진 원인은 없으며, 특정 질환군과 연관된 경우가 아닌 이상 유전되지 않습니다.

 

  • 뇌하수체종양의 증상 

뇌하수체종양의 대부분은 호르몬 관련 특성이 없는 비기능성 뇌하수체종양(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이며, 호르몬 과다 증상이 없기 때문에 MRI 검사를 했다가 우연히 발견하거나 종양이 많이 커진 후 압박 증상이 생겨 발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종양의 크기가 증가하면 정상 뇌하수체 조직을 압박해 기능을 떨어뜨리고 호르몬 저하로 인한 이차적인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변의 시신경 혹은 안구운동 신경 등을 압박해 시력저하, 시야장애, 복시 등을 일으켜 발견되기도 합니다.
반면 일부에서는 종양세포가 특정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는 특성을 가지는 기능성 뇌하수체종양(functioning pituitary adenoma)이 발견되며, 종양의 크기가 작더라도 호르몬 과다 분비에 의한 이차적인 전신 증상이 나타나므로 이때는 보통 적극적인 치료를 권장하게 됩니다. 증상은 종양이 어떤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에서 생겼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유즙분비호르몬(프로락틴, prolactin)을 분비하는 프로락틴선종(prolactinoma)이 생기면 월경이 불규칙해지거나 성욕이 감소하고, 남녀 모두에게서 유즙이 분비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을 분비하는 세포에서 종양이 생기면 손과 발, 턱이나 코가 커지고 이마가 튀어나오면서 얼굴 모양이 변하는 말단비대증이 나타납니다. 당뇨나 고혈압이 생길 수 있고, 성장판이 채 닫히기 전인 어린 나이에 종양이 발생하면 키가 과하게 자라는 거인증이 나타납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과하게 분비하는 종양이 생기면 부신에서 코르티솔 호르몬을 과하게 만들면서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이 나타나는데, 특히 뇌하수체의 문제로 생기는 쿠싱증후군을 쿠싱병(Cushing disease)이라고 부릅니다. 가슴과 배에만 살이 찌고 팔다리는 가늘어지는 중심성 비만, 얼굴이 동그랗게 되는 월상안(moon face)이 생기면서, 피부가 얇아지고 자주 멍이 들고 상처가 생기면 잘 낫지 않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골다공증이나 고혈압 등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뇌하수체종양의 진단

뇌하수체종양은 내분비검사와 영상검사로 진단합니다. 혈액검사로 기본적인 뇌하수체호르몬 수치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진단용 약물을 사용해 인위적으로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거나 억제한 뒤 호르몬 수치를 확인하는 유발검사를 시행합니다. 뇌하수체종양은 그 특성을 잘 관찰할 수 있는 MRI를 시행해 종양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개개인에게 적합한 치료계획을 세웁니다.

 

  • 뇌하수체종양의 치료

뇌하수체종양은 수술적 치료가 가장 우선시되며, 수술 전후에 약물치료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거나 뇌하수체 기능이 떨어져 있을 때는 호르몬제로 기능을 보조하기도 합니다. 특히 프로락틴선종은 약물에 잘 반응하는 편으로, 약물치료를 시작하면 호르몬 분비도 줄어들고 종양의 크기도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하수체는 뇌의 아랫부분, 부비동의 후상부에 자리잡고 있어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때 코를 통해 수술기구를 넣어서 종양을 제거하는 경접형동 접근법을 먼저 고려합니다. 내시경 수술의 도입으로 이전에 비해 더 작은 절개로도 보다 섬세한 수술이 가능해짐에 따라 수술 성적이 많이 향상되었고 완치의 가능성 또한 매우 높습니다. 침윤성 종양이 생겨 수술을 통한 완전 절제가 어려울 때는 감마나이프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를 병행합니다.

반응형